대한민국 건설기술인의 새로운 시대, 100만 명의 전환점과 과제

건설기술인은 대한민국 경제의 든든한 주춧돌로 오랜 기간 역할을 해왔습니다. 드디어 2024년 4월, 건설기술인 등록 회원 수가 100만 명을 돌파하며 새로운 시대를 열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숫자를 넘어 건설산업의 성장과 기술인의 헌신이 만들어낸 값진 성과입니다. 하지만 이 성취의 뒤에는 해결해야 할 여러 과제와 도전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건설기술인의 현주소: 숫자와 세대 간 불균형

건설기술인 수의 증가

  • 1987년 설립 초기 200명에 불과했던 건설기술인협회 회원 수는 2024년 기준 약 100만 9000명에 이르렀습니다. 이는 대한민국 인구 약 50명 중 1명이 건설기술인임을 의미하며, 건설산업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세대별 불균형 심화

  • 하지만, 평균 연령이 51.4세에 달하고 20·30대 기술인이 전체의 16%에 불과하다는 점은 뼈아픈 현실입니다. 특히, 20대 비중은 3.68%로 매우 낮습니다. MZ세대의 유입 부족은 현장 고령화로 이어지고, 이는 스마트 기술 도입 및 혁신을 저해하며 산업 활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여성 기술인의 성장 가능성

  • 여성 건설기술인 비율은 15%로 매년 조금씩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갈 길이 멉니다. 특히 결혼, 출산, 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이나 현장 근무의 어려움은 여성의 지속적인 성장을 가로막고 있습니다.

건설기술인의 미래를 위한 과제와 방향

1. MZ세대 유입 전략

젊은층의 관심을 끌기 위해 건설산업의 이미지를 쇄신하고 경쟁력을 높여야 합니다.

  • 스마트 건설기술과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해 ‘첨단 산업’이라는 이미지를 강화.

  • 안전하고 깨끗한 작업환경 조성을 통해 ‘현장 근무의 부담’을 완화.

  • 직업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홍보하여 타 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필요.

2. 여성 친화적인 산업 환경 조성

  • 육아와 현장 근무를 병행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 도입.

  • 여성이 기여할 수 있는 스마트 설계나 관리직 채용 확대.

  •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확산과 여성 리더십 지원 프로그램 확대.

3. 산업 이미지 개선

건설산업은 과거 부정적 이미지를 벗고 국민에게 신뢰받는 산업으로 거듭나야 합니다.

  • 아파트 부실시공 및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체계적 관리 강화.

  • 윤리적 경영 실현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건설산업의 미래, 새로운 시대를 위한 비전

혁신과 젊음의 융합

건설기술인 100만 시대는 도약의 발판입니다. 이제는 세대 간 협력을 통해 과거의 경험과 새로운 세대의 창의성을 융합해야 합니다.  디지털 건설 기술, 친환경 설계, AI 기반 공정 관리와 같은 신기술 도입은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젊은층의 참여를 유도할 열쇠가 될 것입니다.

지속 가능한 성장

미래의 건설산업은 ‘친환경’과 ‘지속 가능성’이라는 키워드로 움직일 것입니다.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건설 기술 개발, 재생 에너지 활용 프로젝트 등은 필수 과제입니다.

결론...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

100만 명의 건설기술인은 대한민국 경제의 견인차입니다. 이들의 역량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젊은층의 유입, 여성 기술인의 성장, 산업 이미지 쇄신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모든 이해관계자가 협력해야 합니다. 앞으로도 건설기술인이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있어 중심이 되길 기대합니다.

출처 - https://m.dnews.co.kr/m_home/view.jsp?idxno=202411250946435920486

위로 스크롤